로 끝나는 네 글자의 단어: 79개

한 글자:1개 두 글자:123개 세 글자:126개 🍬네 글자: 79개 다섯 글자:29개 여섯 글자 이상:18개 모든 글자:376개

  • 천연생 : (1)인근의 어미나무에서 자연적으로 씨앗이 떨어져 자랐거나, 그루터기 또는 뿌리에서 자라난 어린나무.
  • 야냉 육 : (1)꽃눈의 분화와 생육을 조절하여 우량한 묘를 생산할 목적으로 야간에 온도를 낮춰 묘를 키우는 일. 딸기는 이를 통해 꽃눈의 분화가 촉진되며, 고온성 작물인 토마토, 오이, 가지는 정식 전에 순화를 위해 야간에 온도를 낮추기도 한다.
  • 문선왕 : (1)‘문묘’의 다른 이름.
  • 맨뿌리 : (1)나무를 심을 때 뿌리가 노출된 상태의 묘. 근원경이 5cm 미만인 어린 활엽수 따위를 이식할 때 볼 수 있다.
  • 냉상 육 : (1)냉상에서 묘목이나 모를 기르는 일. 저온에서도 비교적 잘 자라는 작물을 대상으로 한다.
  • 동물 소 : (1)동물의 모습과 생활을 그린 연필 그림.
  • 민진후 : (1)경기도 여주시 가남읍 안금리에 있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외척인 민진후의 묘. 묘역은 원형대로 잘 보전되어 있으며 혼유석, 상석, 향로석, 망주석, 문인석 따위의 석물이 갖추어져 있다.
  • 암굴 분 : (1)분묘 건축 양식의 하나. 원래는 왕이나 귀족의 묘가 타민족의 침입이나 귀중품의 약탈을 막기 위해서 진화된 형태라고 할 수 있다. 피라미드의 축조로 인한 경제적ㆍ사회적 문제를 막기 위해서 기원전 2100년경에 등장하였다.
  • 노지 육 : (1)시설을 이용하지 않고 노지나 바깥 포장에서 키우는 묘(苗). 또는 그렇게 묘를 키우는 방식.
  • 민계수 : (1)경기도 여주시 점동면 부구리에 있는, 조선 중기의 문신 민계수의 묘. 오른쪽 구릉에는 그의 형 민재수의 묘가 있다.
  • 일년생 : (1)일 년 이내에 발아하여 못자리에서 자란 옮겨심기용 어린나무.
  • 자득지 : (1)스스로 깨달아 얻은 오묘한 이치.
  • 신정 고 : (1)중국 허난성(河南省) 신정시(新鄭市)에서 발굴된 묘. 기원전 7세기에서 기원전 6세기의 것으로 추정되며, 청동기를 비롯한 많은 유물이 발굴되었다.
  • 공정 육 : (1)질이 균일하고 규격화된 묘를 연중 계획적으로 생산하는 것. 제반 육묘 작업을 일관적으로 체계화, 장치화한 묘 생산 시설에서 이루어진다. 종자를 직파하는 경우 종자 비용과 제초 비용, 기타 인건비 등이 많이 소요되는 반면에, 공정 육묘를 도입할 경우 생산 시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생산량을 예측할 수 있어 비용 운영에 도움이 된다.
  • 개별 육 : (1)각 농가가 개별적으로, 소규모로 묘를 기르는 일. 공동 육묘에 비하여 비경제적이다.
  • 꺾꽂이 : (1)꺾꽂이에 쓰는 묘목.
  • 진춘 고 : (1)중국 허난성(河南省) 뤄양(洛陽) 진춘(金村)에 있는 전국 시대 후기의 옛 고분군(群). 한군묘(韓君墓)로 전하여지고 있다.
  • 공동 육 : (1)생산자 단체나 여러 농가가 공동으로 묘를 키우는 것. 개별적으로 모를 키우는 것보다 경제적이고 효율적이다.
  • 민백겸 : (1)경기도 여주시 강천면 이호리에 있는, 조선 중기의 문신 민백겸의 묘.
  • 남천참 : (1)선종의 공안(公案)의 하나. 중국 당나라 때 선승(禪僧) 남천보원(南泉普願)이 고양이 새끼가 불성을 가지고 있는가를 놓고 논쟁하다가 고양이 새끼를 죽였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 은필 소 : (1)뾰족한 끝에 은(銀)이 붙어 있는, 금속으로 된 소묘 용구를 사용하여 사물의 형태와 명암을 위주로 그린 그림.
  • 기기묘 : (1)‘기기묘묘하다’의 어근.
  • 단근 육 : (1)모기르기 방법의 하나. 묘를 아주 심기 할 경우에는 식상을 입기 쉬운데,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이식할 때 가능한 한 세근을 발달시켜 놓을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이식, 자리옮김, 단근 등을 행하는데, 이것은 묘의 주위에 길게 뻗어 있는 뿌리를 잘라서 충실한 세근이나 부정근을 발생시키려는 것이다.
  • 궐두정 : (1)가느다란 말뚝처럼 꾸밈없이 수수하고 단순한 필선.
  • 무병 종 : (1)병들지 않은 종자나 묘목. 특히 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은 것을 이른다.
  • 실내 육 : (1)건물 안에서 식물의 싹을 틔우게 하고 일정 수준까지 키우고 기르는 일.
  • 지정지 : (1)더할 나위 없이 정묘함.
  • 플러그 : (1)플라스틱 또는 스티로폼 연결 포트에 파종하여 육묘한 묘. 자동화 및 대량 육묘에 적당한 육묘법이다.
  • 이기지 : (1)이이가 설명한 본체론으로서, 이(理)와 기(氣)의 관계를 밝힌 논리 구조. 이기(理氣)는 이원적으로 분리할 수 없다는 것이 기본적인 생각이다.
  • 민시중 : (1)경기도 여주시 능서면 오계리에 있는, 조선 중기의 문신 민시중의 묘. 혼유석, 상석, 향로석, 북석, 망주석, 문인석 따위가 배치되어 있다. 묘표는 높이가 256.5cm이다.
  • 전학후 : (1)문묘, 서원, 향교 따위에서 각 건물을 배치하는 방법의 하나. 앞쪽에 학업용 건물을, 뒤쪽에 묘당을 배치한다.
  • 동관왕 : (1)관왕묘 가운데 서울 동대문 밖에 있는 사당. 임진왜란 때 관우의 혼이 때때로 나타나 조선과 명나라의 군을 도왔다 하여 선조 32년(1599)에 명나라 신종 황제의 명에 따라 건립하여 2년 후에 준공하였다.
  • 궁서설 : (1)궁지에 몰린 쥐가 고양이를 문다는 뜻으로, 궁지에 몰리면 약자라도 강자에게 필사적으로 반항함을 이르는 말.
  • 복위부 : (1)폐위된 왕이나 왕비를 복위시켜 종묘에 봉안하던 일.
  • 사육신 : (1)서울특별시 동작구 노량진동에 있는 사육신의 묘. 조선 세조 때에 단종의 복위를 꾀하다가 처형된 여섯 사람의 묘가 있다.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8호로 지정되어 있다.
  • 김유신 : (1)경상북도 경주시 충효동에 있는 김유신의 묘. 사적 정식 명칭은 ‘경주 김유신 묘’이다.
  • 접목 육 : (1)토양 병충해를 피하고 생육 촉진을 위하여 접목하여 모나 묘목을 기르는 방법. 오이, 수박, 멜론 따위의 생육에 쓴다.
  • 단련 종 : (1)묘의 성장을 억제하여 건강하게 관리하여 기른 종묘.
  • 민치록 : (1)경기도 여주시 가남읍 안금리에 있는, 조선 후기의 문신 민치록의 묘. 풍수지리에 따라 다섯 번을 이장하여 지금의 자리에 안장되었다. 혼유석, 상석, 북석, 향로석 따위의 석물이 잘 갖추어져 있다.
  • 훈탄 육 : (1)왕겨를 태워서 만든 훈탄을 섞은 배지로 농작물을 육묘하는 일.
  • 가납골 : (1)임시로 마련된 납골 묘.
  • 한식 성 : (1)한식날에 하는 성묘.
  • 민종현 : (1)경기도 여주시 신진동에 있는, 조선 중기의 문신 민종현의 묘. 봉분 주위에 혼유석, 상석, 향로석, 북석 따위의 석물이 배치되어 있다. 봉분의 오른쪽에는 높이 136cm의 묘표가 있다.
  • 시설 육 : (1)온실이나 비닐하우스 따위의 시설에서, 재배 환경을 조절하면서 묘목이나 모를 기르는 일.
  • 강서 대 : (1)평안남도 강서군 강서면 삼묘리에서 발견된 고구려 때의 벽화 무덤. 무덤 벽에는 사신도와 당초무늬 따위가 그려져 있다. 부근의 강서 중묘, 강서 소묘와 함께 강서 고분(江西古墳)으로 불린다.
  • 뿌리분 : (1)묘를 옮겨 심을 때 흙이 붙어 있는 상태로 파내어 흙이 떨어지지 않게 마대나 새끼줄로 뿌리를 감싼 묘. 근분의 크기가 크고 포장 상태가 양호한 것이 상품 가치가 높다.
  • 경시성 : (1)경기도 여주시 흥천면 대당리(大塘里)에 있는, 조선 중기의 문신 경시성의 묘. 묘역에는 혼유석, 상석, 향로석과 같은 석물이 배치되어 있다. 봉분의 오른쪽에는 예서로 새긴 대리석 묘표가 세워져 있다.
  • 중추성 : (1)추석에 조상의 산소를 찾아 돌봄.
  • 곽승진 : (1)경기도 여주시 강천면 간매리에 있는 조선 중기의 문신 곽승진의 묘. 송전산 구릉의 청주 곽씨 세장지에 위치하고 있으며, 묘표는 글자가 마모되어 알아보기 어렵다.
  • 흙 붙임 : (1)육묘할 때 쓰는, 뿌리에 흙이 붙어 있는 어린 묘.
  • 무연분 : (1)자손이나 관리해 줄 사람이 없는 무덤.
  • 임업 종 : (1)관목이나 교목류의 어린 식물체로, 종자가 발아하여 자란 것. 또는 임목의 종자에서부터 산출묘를 생산하는 과정까지 이르는 일련의 작업.
  • 민진주 : (1)경기도 여주시 월송동에 있는, 조선 후기의 문신 민진주의 묘. 봉분 주위에 혼유석, 상석, 향로석, 북석, 망주석, 문인석 따위의 석물이 있다.
  • 유연분 : (1)자손이나 관리해 주는 사람이 있는 무덤.
  • 민경혁 : (1)경기도 여주시 하거동에 있는, 조선 후기의 문신 민경혁의 묘. 묘역에는 상석, 향로석, 망주석 따위가 배치되어 있다.
  • 광해군 : (1)경기도 남양주시에 있는 광해군과 그 부인의 무덤. 봉분이 두 개인 쌍분이며, 주변에 석물이 있다. 사적 정식 명칭은 ‘남양주 광해군묘’이다.
  • 레닌 영 : (1)러시아 모스크바에 있는 레닌의 무덤. 1930년에 완공되었다. 크렘린 근처에 붉은색 화강암을 사용하여 피라미드 형태로 세웠으며, 내부에 방부 처리를 한 레닌의 유해가 안장되어 있다.
  • 고현분 : (1)먼 윗대 조상의 무덤.
  • 석실 분 : (1)고대 이집트에서, 벽돌이나 돌로 벽을 비스듬히 쌓아 올린 긴 네모꼴의 분묘(墳墓) 형식. 아라비아어로 ‘직사각형의 벤치’를 의미하는데 뒤에 피라미드로 발전하였다.
  • 사만 영 : (1)지금의 우즈베키스탄 부하라에 있는 사만 왕조의 영묘. 9세기 말에 사만 왕조의 제2대 군주인 이스마일 사마니(Somoni, I.) 가 아버지를 위하여 지었으며, 자신도 이곳에 안장되었다. 10세기에 만들어진 이스마일 사마니의 무덤은 같은 시기 이슬람 건축의 걸작으로 꼽힌다.
  • 민유중 : (1)경기도 여주시 능현동에 있는, 조선 숙종 때의 문신 민유중의 묘. 명성 황후 생가의 뒤쪽에 있는 산에 위치하고 있다. 혼유석, 상석, 향로석, 망주석 따위가 배치되어 있다. 여주 향토 유적 제5호.
  • 림간양 : (1)숲속에서 묘목을 기르는 일. ⇒남한 규범 표기는 ‘임간양묘’이다.
  • 서관왕 : (1)관왕묘 가운데 서울 서대문구 천연동에 있던 사당. 대한 제국 광무 6년(1902)에 세워졌다가 융희 3년(1909)에 동묘(東廟)와 합쳐졌다.
  • 창사 한 : (1)중국 창사시(長沙市) 동쪽 교외에 있는 마왕두이(馬王堆)에서 발견된 서한(西漢) 초기의 분묘. 여기서 2,000년 전 당시의 상태 그대로의 여자 유체와 1,000여 점에 이르는 부장품이 발굴되었다.
  • 남관왕 : (1)관왕묘 가운데 서울 남대문 밖에 있는 사당.
  • 민재수 : (1)경기도 여주시 점동면 부구리에 있는, 조선 중기의 문신 민재수의 묘. 근처에 그의 아버지 민진장의 묘가 있다.
  • 난쟁이 : (1)오이에서 발생하는 저온 생리 장해로 인해 생장이 정지한 묘. 저온 조건에서 건조하거나 비료 성분이 부족한 상황에서 초세가 약하거나 뿌리가 약할 때 많이 발생한다. 생장점 부근의 꽃봉오리가 개화되어 다수의 암꽃들이 머리를 내밀고 뭉쳐 있다. 암꽃이 많이 피는 품종에서 많이 나타난다.
  • 민일호 : (1)경기도 여주시 가남읍 안금리에 있는, 조선 후기의 문신 민일호의 묘. 전체적으로 소박하게 조성되어 있다.
  • 취푸 문 : (1)중국 취푸에 있는, 공자의 고택에 세운 공자묘. 노나라 애공이 공자가 죽은 다음 해에 창건한 것으로 규모가 크며, 특히 대성전(大成殿)은 청나라 때(1724)에 세운 것이다.
  • 북관왕 : (1)관왕묘 가운데 서울특별시 종로구 명륜동에 있던 사당. 조선 고종 20년(1883)에 세워졌다가 1913년에 동묘(東廟)에 병합되었다.
  • 민정중 : (1)경기도 여주시 하거동에 있는, 조선 숙종 때의 문신 민정중의 묘. 묘역에는 혼유석, 상석, 북석, 망주석 따위가 배치되어 있다. 전체적으로 묘역의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다.
  • 온상 육 : (1)온상에서 모종을 기르는 일. 주로 가을에 파종하는 화초, 선인장, 토마토, 오이, 호박, 가지 따위를 기른다.
  • 수간고 : (1)몇 칸 안 되는 옛 사당.
  • 민우수 : (1)경기도 여주시 능현동에 있는, 조선 중기의 문신 민우수의 묘. 묘역에 혼유석, 상석, 향로석, 망주석 따위가 배치되어 있다.
  • 기성구 : (1)평양시 기림리에 있는 기자(箕子)의 묘. 고려 숙종이 이곳을 찾아 제사를 지냈고, 조선 성종 때에 중수(重修)되었다.
  • 민병석 : (1)경기도 여주시 대신면 옥촌리에 있는, 조선 후기의 문신 민병석의 묘. 봉분 주위에 혼유석, 상석, 향로석, 망주석, 북석 따위의 다양한 석물이 배치되어 있다.
  • 권세현 : (1)경기도 여주시 능서면 왕대리에 있는, 조선 중기의 문신 권세현(權世賢)의 묘. 전라 좌도 수군절도사 권팽년(權彭年)의 아들이다. 통훈대부(通訓大夫)에 오르고 영산군수(靈山郡守)를 역임하였다.
  • 연산군 : (1)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에 있는, 연산군과 그의 비 신씨의 무덤. 중종반정으로 연산군이 강화로 쫓겨나 거기서 죽자, 신씨가 무덤을 이곳으로 옮겨 달라 청하여 만들었다. 무덤 주변에는 연산군의 딸과 사위의 무덤이 있고, 묘비석과 여러 석물이 있다. 사적 정식 명칭은 ‘서울 연산군묘’이다.
  • 장사 한 : (1)중국 창사 시(長沙市) 동쪽 교외에 있는 마왕두이(馬王堆)에서 발견된 서한(西漢) 초기의 분묘. 여기서 2,000년 전 당시의 상태 그대로의 여자 유체와 1,000여 점에 이르는 부장품이 발굴되었다. ⇒규범 표기는 ‘창사 한묘’이다.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99개) : 마, 막, 만, 맏, 말, 맑, 맗, 맘, 맛, 망, 맞, 맡, 맣, 매, 맥, 맨, 맬, 맴, 맵, 맹, 먀, 머, 먹, 먻, 먼, 멀, 멈, 멋, 멍, 멎, 메, 멕, 멘, 멜, 멤, 멧, 멩, 멫, 며, 멱, 면, 멸, 몀, 몃, 명, 몇, 모, 목, 몫, 몬, 몯, 몰, 몱, 몸, 못, 몽, 뫃, 뫼, 뫽, 묄, 묌, 묏, 묗, 묘, 묫, 무, 묵, 묶, 문, 물, 뭀, 뭄, 뭇, 뭉, 뭍, 뭐, 뭔, 뭘, 뭣, 뭬, 뮈, 뮐, 뮤, 뮬, 므, 믄, 믈, 믐, 믜, 미, 믹, 민, 밀, 밇, 밈, 밋, 밍, 및, 밑

실전 끝말 잇기

묘로 시작하는 단어 (333개) : 묘, 묘각, 묘간, 묘간 거리 격자, 묘간하다, 묘갈, 묘갈명, 묘견보살, 묘경, 묘계, 묘계하다, 묘계현화, 묘고산, 묘곡, 묘공, 묘과, 묘관, 묘관찰지, 묘광, 묘광산, 묘교, 묘구, 묘구도, 묘구도적, 묘구식 포기, 묘굳히기, 묘궁, 묘근, 묘기, 묘기백출 ...
묘로 시작하는 단어는 333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묘로 끝나는 네 글자 단어는 79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